한국 원전, 원자력 발전의 문제점
안녕하세요 하루한시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전기세 인상과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문제점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은 점이 많은 원자력 발전을 안 하려고 했던 이유!
탈원전이 세계화가 됐던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탈원전 원자력발전의 문제점
원전의 가장 큰 문제점, 위험성은 바로 방사성 폐기물과 방사능 유출입니다.
대표적인 방사능 유출 사건이 바로 후쿠시마 원전 사태, 체르노빌 사건입니다.
(체르노빌 상황을 드라마도 만들었는데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터지면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됐습니다.
이러한 방사성 물질은 방사성 붕괴를 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방사선이 나오게 됩니다.
문제는 방사선에 피폭이 되면 인체에 엄청 해롭습니다.
원전에서 나오는 폐기물도 이러한 방사선이 문제입니다.
방사성 물질이 이러한 방사성 붕괴를 멈추는 데는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방사성 폐기물 처리
그렇다면 이렇게 위험한 방사성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요?
중요한 핵심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잘 버리는 겁니다.
옛날에는 바다에다 수장을 했는데 바다 오염 문제가 있어서 더 이상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땅을 깊숙이 파두고 거기에다 묻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한구의 경우 사용 후 나온 방사성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요?
일단 열을 식히기 위해 몇 년간 물이 가득 찬 수조에 저장을 하며 열을 식히게 됩니다.
사진 속의 동그랗고 까만 철괴같이 생긴 게 방사성 폐기물입니다.
방사성폐기물의 열 관리는 쉽지 않습니다.
열을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식히는데만 대략 5~6년이 걸립니다.
이렇게 열을 식혀주고,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전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후쿠시마 사태처럼 정전이 일어나거나 문제가 생기면 방사선이 유출될 수도 있습니다.
(물을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낮추려면 열교환기를 사용해야 해서 전기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온도가 어느 정도 내려간 방사성 폐기물은 건식 저장소로 옮기게 됩니다.
두께 1m의 두꺼운 콘크리트와 금속의 외벽으로 바로 옆에 있더라도 맞게 되는 방사선은 엑스레이보다 훨씬 적은 양압니다.
이러한 건식 저장시설은 자연냉각 방식이라 전력도 필요 없고 지진에 대한 리스크도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보관된 방사성 폐기물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지하 500~1000m에 영구 처분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관리를 잘한다고 해도 결국 보이지 않는 곳에 치워두는 형태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당장은 처리할 방법이 없으니 안 보이는 곳에 치워두고 후세에 문제를 전가하는 방식인 거죠
원전은 핵폭발 위험이 있다?
Q. 원전이 과열되면 핵폭발이 일어난다?
A. 실제 후쿠시마의 원전 사태가 쓰나미로 인해 전기 공급이 중단되고 냉각수 공급이 안되면서 과열이 발생해 일어난 사건입니다.
최근에는 원전의 안전 설계가 잘 되어있기 때문에 해당 사건에서 보듯 과열된다 하더라도 핵폭발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과열된 온도로 수소가 폭발해 격납고 지붕이 날아가 방사능이 새어나간 것입니다.)
특히 한국은 전기가 끊기더라도 비상발전기가 대비하고 있고, 이 외에도 3 단계 공급 대비가 되어있습니다.
현제 폐기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이고요
이상 하루한시였습니다.
'시사 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피크제 대법원 무효 판결? 위법? 임금피크제란? (0) | 2022.07.22 |
---|---|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1차 실패 이유와 2차에서 바뀐 모든것 (0) | 2022.07.21 |
전기세 인상, 한국 원자력의 필요성 (0) | 2022.07.19 |
카카오페이 블록딜로 주가 폭락, 블록딜이 뭐길래? (0) | 2022.07.17 |
테라 코인 루나 코인 사태 정리 (0) | 2022.07.15 |
댓글